바로가기


청주시의회

제91회 제2호 경제문화위원회(2024.12.04 수요일)

기능메뉴

  • 회의록검색
    • 크게
    • 보통
    • 작게
  • 닫기

맨위로 이동


청주시의회

×

설정메뉴

발언자

발언자 선택

안건

안건선택

맨위로 이동

본문

1. 2024년 제3회 추가경정 예산안(시장 제출)

2. 2024년 기금운용계획변경안(시장 제출)

가. 경제투자국 소관 제안설명


나. 경제투자국 소관 질의

(10시13분)

정연숙 위원  네, 정연숙 위원입니다. 경제일자리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187쪽 청주사랑론, 청주형 소상공인 육성자금 이자 지원 관련해서입니다. 청주사랑론 같은 경우 이차보전금 8억 중에 1억이 반납되고, 청주형 소상공인 육성자금 이자 지원 이거는 40억 중에 3억 5,000이 반납됐는데 금액이 굉장히 큰 금액이 반납되는 것 같습니다. 이게 계획대로 사업이 잘 진행된 건지 간단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경제일자리과장 이봉수  경제일자리과장 이봉수입니다. 사업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부분이고요. 다만 이자를 보전해 주다 보니까 조기에 상환되는 경우도 있고 또 대출을 실행할 때 대출 시점에서 이차보전이 계산되기 때문에 저희가 당초예산을 편성할 때 예측하기가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3회 추경에 집행잔액이 예상되는 그 부분을 감하는 겁니다.


정연숙 위원  이게 몇 년째 진행되고 있는 사업인 거죠?


○경제일자리과장 이봉수  청주사랑론 같은 경우는 꽤 오래 전부터 진행됐고요. 이거는 내년도 8월이면 종료되고……. 청주사랑론이 소상공인 육성자금으로 확대됐기 때문에 사랑론 같은 경우는 내년도 8월이면 종료되고요. 소상공인 육성자금 이자 지원은 민선 8기 들어서 새로 추가해서 당초 2프로 지원해 주던 이자를 3프로로 확대해서 진행되는 사항입니다.


정연숙 위원  이게 아무래도 소상공인들이 지금 코로나 시기를 넘어서면서도 “오히려 그때보다 더 어렵다.”, “IMF 때보다 더 어렵다.”라고 하는 상황에서 이렇게 예측……. 사실 가능할 것 같으면서도 어려운 게 현실의 문제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적극적으로 더 어려운 부분들을 깊이깊이, 잔액이 발생하지 않고 최대한 있는 금액들 제대로 집행될 수 있게끔 적극 독려를 내년에도 마찬가지로 해주셔야 될 것 같고요. 같은 내용에 188쪽 청주형 내일공감 일자리 사업 관련해서도 인턴 채용이 지연되고 정규직 미전환에 따른 미집행액을 감액한다고 했는데, 집행잔액이 너무 많이 남았습니다. 청년들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취지에 맞게끔 이 부분도 사실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하셨는지…….


○경제일자리과장 이봉수  경제일자리과장 이봉수입니다. 청주형 내일공감 일자리 사업은 청년들에게 인턴으로 근무할 수 있는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그 인턴 기간이 종료되면 정규직 전환을 통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추진한 사업인데요. 저희가 금년도에는 10명을 지원하려고 추진했습니다. 그런데 정규직 전환이 안 된 부분도 있고 그래서 집행잔액이 좀 남았습니다.


정연숙 위원  이게 관련 부서라고 하면 복지 쪽과도 관련이 많을 것 같은데요. 사실 인턴을 채용하거나 인턴 채용했던 분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거에 있어서는 사업장 입장에서도 훌륭한 인재를 채용하고 싶은 마음이 있을 거라서 그런 부분하고 또 관련된 부서와 기업체하고 면밀하게 좀……. 경제일자리과에서도 사후적인 그런 부분이든 사전적인 부분이든 신경 쓰셔서 적극 독려하거나 권장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일자리과장 이봉수  예, 저희도 이 사업이 잘돼서 정규직 전환돼서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저희가 사업을 추진할 때도 기업체라든지 이런 데하고 적극 협력해서 잘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연숙 위원  네, 다음은 미래산업과 과장님께 질의드리겠습니다. 194쪽이고요. 에너지 전환하고 바로 옆에 투자유치 활동 관련해서 에너지 전환은 맑은 청주 에너지 전환을 위한 민관 거버넌스(governance) 참석수당이 한 번도 개최되지 않았고요. 투자유치 활동 관련해서 위원회도 개최한 적이 없습니다. 이유를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미래산업과장 조민숙입니다. 투자유치위원회 같은 경우는 한 번 개최했는데요. 저희가 6월까지는 기금으로 운영했었기 때문에 기금에서 위원회 수당이 나가서 기금에 위원회 참석수당이 남아 있던 걸 저희가 일반회계로 담았는데 그 이후에 위원회가 개최가 안 된 것이고요. 거버넌스 같은 경우에는 지금 기후대기과에 탄소중립센터가 생기면서 그 기능을 그쪽에서 담당하다 보니까 저희 과에서 하는 역할하고 내용이 중복돼서 미래산업과에서는 거버넌스 회의 같은 경우는 진행을 못 했던 상황입니다.


정연숙 위원  그러면 기후대기과로 넘어간 이 에너지 전환 관련해서는 다음 본예산 때는 계상되지 않는 걸로…….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네, 내년에는 예산 계상이 없습니다.


정연숙 위원  그다음에 투자유치 활동에서는 6월까지 기금에서 1회 개최했다고 하는데 이게 비상설위원회인가요?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네, 그렇습니다.


정연숙 위원  그럼 이게 어떨 때 개최하는 건가요?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미래산업과장 조민숙입니다. 저희 같은 경우는 투자유치보조금을 지원하거나 기금에서 보조금을 지원할 때 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했는데…….


정연숙 위원  발생하지 않은 건가요?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지금 투자유치기금이 없어지면서 위원회도 사실상 그렇게 많이 저기 하게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정연숙 위원  그러면 내년도 본예산에는 이게…….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내년에는……. 위원회는 보조금 결정이라든지 이런 게 있을 때 하기 때문에 내년에도 이 사업 예산 반영은 됩니다.


정연숙 위원  반영은 되는데 이게 비상설이라면 그러한 목적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냥 집행잔액으로 또 남게 되겠네요?


○미래산업과장 조민숙  네, 그렇습니다.


정연숙 위원  알겠습니다. 세정과 질의드리겠습니다. 197쪽이고요. 세입통합 ARS 납부시스템 유지보수비 관련해서 971만 원을 계상했는데 1회만 집행하고 집행이 굉장히 저조합니다. 혹시 어떤 이유가 있는 건가요?


○세정과장 조재철  세정과장 조재철입니다. 저희 지방세 시스템이 올해 ’24년도 2월 13일 자로 차세대로 전면 구축됐습니다. 변경되는 바람에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던 ARS 신용카드 납부시스템이 바뀌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됐기 때문에 나머지 잔액에 대해서 반납하게 되는 그런 경우입니다.


정연숙 위원  그러면 세입통합 ARS 납부시스템은 내년도 본예산에는 올라오지 않는 건가요?


○세정과장 조재철  예, 내년도 본예산에는 아마 이건 예산 편성을 안 하게 될 겁니다.


정연숙 위원  말씀하신 차세대 시스템으로 연계했다고 하는데 그러면 그 시스템 연계 기능 구축은 또 집행잔액은 0원입니다. 이거는 어떤 이유인가요?


○세정과장 조재철  죄송하지만 어떤 거를 말씀하시는 건지 다시 한번…….


정연숙 위원  기정액 1,760만 원이 계상되어 있는데 예산액 0원으로 되어 있어서 감액하는 걸로……. 197쪽에 납세 편의 시책 이거는 어떠한 내용인지 설명 좀 해주시겠습니까?


○세정과장 조재철  아, 예. 세정과장 조재철입니다. 세입통합 무인수납기 차세대 시스템도 예전에 차세대로 바뀌기 전에 현 세대에서 사용하던 무인수납기인데요. 이게 4세대로 바뀌면서 기능 연계가 되지 않아서 사용할 수 없게 됐기 때문에 이것도 반납하는 경우고요. 내년도에도 본예산에 편성을 안 하는데 행안부에서 이거를 차세대 시스템에 기능을 연계해서 구축이 된다는 그런 얘기도 있거든요. 만약 그렇게 하게 된다면 별도의 예산이 또 반영돼야 될 수도 있을 겁니다.


정연숙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성택  정연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질의하는 위원 없자)

질의하실 위원님이 계시지 않아서 제가 몇 가지만 말씀드릴게요. 세정과장님! 지난번에도 따로 말씀드렸지만 71페이지 지방세 수입이……. 저희가 지금 3회 추경인데 사실은 1회 추경이나 2회 추경에 어쨌든 날짜가 맞으면 발생했을, 즉시 반영할 수 있었던 사안이잖아요, 이게.


다. 청주시시설관리공단 소관 제안설명


라. 청주시시설관리공단 소관 질의

(11시06분)

정연숙 위원  네, 정연숙 위원입니다. 46쪽 공공사업부 관련해서요. 예산 관련한 질의라기보다는 궁금한 게 있어서 질의드리겠습니다. 목련공원, 장미공원 그리고 매화공원 이렇게 제초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까? 이 부분에 대해서 민원이 좀 왔었는데요. 제초하는 시기가 추석 전으로 진행되는 건데 너무 이른 시기에 돼서 잔디가 굉장히 길게 웃자랐다는 민원이 들어왔었거든요. 그런 거에 대해서 현장을 사후에……. 사진 같은 자료는 분명히 받겠지만 사후에 점검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진행하고 있나요?


○청주시시설관리공단공공사업부장 김동진  공공사업부장 김동진입니다. 사후에 저희가 그렇게까지 관리를 사실 못 한 부분은 있습니다. 올해 같은 경우 골프장도 마찬가지고 이상기후로 인해서……. 저희가 보통 추석 2주 전에 제초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근데 좀 이상기후로 인해서 골프장도 마찬가지고 저희도 올해 그런 미진한 부분은 좀 있었습니다. 그래서 추후에는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더 신경 쓰도록 하겠습니다.


정연숙 위원  네, 정성된 마음으로 성묘를 가는 시민들에게……. 기후가 온난해지는 거는 맞는 거긴 한데 현장에서 위탁업체하고 일정을 조율해서 늘상 반복되게 그 시기로 고집하시지 마시고 최대한 깔끔하게 잘 정돈된 모습으로 시민들에게 서비스한다는 마음으로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청주시시설관리공단공공사업부장 김동진  네, 알겠습니다.


정연숙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성택  정연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신승호 위원 거수)

네, 신승호 위원님 질의하여 주십시오.


마. 상당구청 소관 제안설명


바. 서원구청 소관 제안설명

(13시32분)

사. 흥덕구청 소관 제안설명


아. 청원구청 소관 제안설명

(13시34분)

자. 상당구청, 서원구청, 흥덕구청, 청원구청 소관 질의


차. 문화체육관광국, 청주시립미술관 소관 제안설명


카. 문화체육관광국, 청주시립미술관 소관 질의

(14시10분)

정연숙 위원  네, 정연숙 위원입니다. 저도 문화예술과장님께. 유사한 건데요. 245쪽 충북청소년 민속예술제 참가 관련해서 옥산중학교가 선정됐지만 감액 사유가 ‘전국대회 참가 및 정기고사 일정으로 참가 포기’라고 이렇게만 되어 있는데 이 예선대회에서 한 팀만 선정하나요? 이게 계속되는 사업인 거잖아요, 매년 반복되는. 그죠, 과장님?


○문화예술과장 김성란  문화예술과장 김성란입니다. 지금 현재 청주시 대표로 풍물 같은 그런 우리 민속예술인데 옥산중학교가 현실적으로는 계속 청소년부에서는 선정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공교롭게 10월 11일에 충청북도 대표로 해서 한국민속예술제 참가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중간고사랑 겹쳐 갖고 부득이 충청북도 하는 거는 포기한 걸로 돼 있습니다.


정연숙 위원  그런데 이게 매년 연례적으로 반복되는 행사인 거죠, 충북청소년 민속예술제?


○문화예술과장 김성란  예, 그렇습니다.


정연숙 위원  그러니까 이게 말씀하신 대로 옥산중학교가 대부분 많이…….


○문화예술과장 김성란  예, 거의. 실력도 있고 그래서.


정연숙 위원  그래서 본 위원이 생각하기에는 이게 지금 옥산중학교를 밀어주기 위한 지원금 같아요. 꼭 그런 건 아니겠지만 대부분 그렇다고 하면 민속예술이라고 하는 부분을 양성하기 위한 그런 쪽으로 해도 되지 않을까요? 꼭 이렇게 대회에 참가하고 이런 쪽도 있지만 저변을 확대하는 쪽으로 확대해서 옥산중학교뿐만 아니라 타 학교들에 대해서도……. 왜 엘리트체육 말고 저변을 확대하는 쪽도 고민하듯이 이런 것도 좀 생각의 전환을 해보시면 어떨까 하는 고민이 들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문화예술과장 김성란  문화예술과장 김성란입니다. 현실적으로는 사실은 아까 말씀드렸듯이 옥산중학교뿐만이 아니라 열려있는 문에 계속 옥산중학교가 선정되는 건데 차기를 위해서 그런 부분도 고민해 보겠습니다.


정연숙 위원  네, 꼭 하나만 할 필요는 없잖아요? 두세 학교를 조금 더 생각해서. 여유가 안 된다면 대체할 수가 있다거나 다른 방식을 고민해 보시면……. 이게 금액이 450만 원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금액이지만 그 학교 아이들 고려도 해봐야 되는 상황이면. 이렇게 결과적으로는 비효율적으로 예산집행이 되는 거잖아요. 그래서 그런 고민들이 좀 필요할 것 같아서 말씀드렸습니다. 고민 좀 한번 해보실까요?


○문화예술과장 김성란  예, 알겠습니다.


정연숙 위원  네, 이상입니다.


○위원장 김성택  정연숙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더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신승호 위원 거수)

예, 신승호 위원님 질의하여 주십시오.


맨위로 이동

페이지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