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청주시의회

제92회 제2호 농업정책위원회(2025.02.19 수요일)

기능메뉴

  • 회의록검색
    • 크게
    • 보통
    • 작게
  • 닫기

맨위로 이동


청주시의회

×

설정메뉴

발언자

발언자 선택

안건

안건선택

맨위로 이동

본문

1. 2025년 상반기 시정계획 보고의 건

 가. 공원산림본부 소관


    1) 공원관리과

(10시05분)

    2) 공원조성과

(10시09분)

    3) 산림관리과

(10시12분)

김준석 위원  네. 산림과장님께 질의 좀 하겠습니다. 저기 78페이지고요, 가로수 조성 및 관리 현안에 대해서 좀 질의를 하겠는데요. 지금 여기 보시면 뿌리 정비를 하시잖아요, 가로수를.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산림관리과장 김은배입니다. 예, 정비하고 있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런데 제가 다녀 보면 뿌리 정비라는 게 뿌리가 위로 튀어나와서 보도블록이 같이 올라오는 그런 상황을 말씀하시는 거잖아요?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네, 맞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런데 이게 저기 뭐야……. 민원이 들어온 게 이것 식재를 새로운 걸로 하자는 분들이 많으세요. 그렇게 안 올라올 수 있는 그런 품종이 있나 보더라고요. 그래서 그건 제가 볼 때에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것 같고. 저희가 이것 뿌리 정비를 할 때마다 보도블록을 다 뜯어서 공사를 하시잖아요.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네, 그렇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러면 혹시 이것 한 주당 들어가는 예상 비용이 어느 정도 되나요? 혹시 알고 계시나요?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정확한 비용은 제가 알지 못하고 있고요. 저희가 그것을 평균 단가를 내서 용역을……. 그걸 뭐라고 그러죠? 할 때마다 단가 계약 공사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 단가는 평균 단가 내서 하고 있고. 그렇게 하고 긴급한 사항에 대해서는 견적 처리로 해서 견적을 받아서 그중에서……. 견적 처리해서 시공하고 있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게 다녀 보니까 아직도 그런 상황으로 뿌리가 올라오는 데가 상당히 많은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민원이 들어온 게 어르신들이 보도블록을 걷다가 넘어지는 경우도 있고 안전상 좀 문제가 있다고 하시는데 저희가 이렇게 정비하는 거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건가요, 혹시?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산림관리과장 김은배입니다. 수목이 천근성 수목이 있고, 심근성 수목이 있는데요. 천근성 수목이면 뿌리가 깊이 박히지 않고 지표면을 따라서 뿌리가 뻗는 그런 수종들이 많은데 저희가 가장 문제시되는 건 느티나무나 버즘나무처럼 대형목으로 이렇게 오랫동안 크는 나무들이 그런 뿌리 들림 현상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지속적으로 모색해 봐야 할 것 같고요. 그런 대형목들이 오래 성장하면 주변에 경관상이나 공익적으로 충분히 훌륭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가 새로운 식재 수종을 선정할 때 뿌리 들림 현상에 대해서 검토해서, 수종 선정 때 저희가 수종선정위원회를 통해서 대책을 강구토록 하겠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래서 저는 방치하지 마시고 거기 어떤 표시를 해주시든가 해 갖고 특히 노약자들이 보행하실 때 불편함이 없도록……. 제가 볼 때는 이게 뿌리 정비를 하시면 몇 년 있다가 다시 올라오고 이렇게 할 거란 말예요, 분명히. 그래서 이걸 자료 요청을 드리고 싶은 게 저희가 정비 사업을 할 때 어느 정도 예산이 소요됐는지 3년 치를 파악해서 그건 별도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네, 알겠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리고 하나만 더 하겠습니다. 저기 공원관리과장님, 제가 질의 좀 하겠습니다. 저기 12페이지고요. 저희가 어린이 물놀이장을 운영하고 있어서 대표적으로 여기 대농도 있고 여러 가지가 있고 물놀이 시설하는 건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부분인데요. 물놀이는 좋은데 이게 일반 시민들이 물놀이 외에 쉴 수 있는 공간이 생각보다 많지 않아요. 그래서 작년인가 대농도 그늘막이 없다가 긴급하게……. 제가 알기로는 긴급인지 본예산인지 몰라도 설치를 하셨거든요. 그 지역 주민들이 물놀이까지는 좋은데 그늘막이 없다 이거예요. 그러니까 애들이 심지어는 화상까지 입는다고 얘기를 하세요. 그래서 이번에 저희가 오송이나 이쪽을 새로 하시잖아요. 그럴 때 물놀이까지는 다 좋은데 그래도 쉴 수 있는 공간을 많이 확보하셔서 아이들이 화상이나 이렇게……. 주민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많이 반영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원산림본부공원관리과장 전지연  예, 알겠습니다. 이번에 2개소 설치하고 운영은 오창 같은 경우에는 오창읍에서 운영하게 되고요, 오송은 오송에서 운영하게 되는데 저희가 위원님께서 말씀하신 사항 잘 반영해서 추진토록 지도하겠습니다. 검토하겠습니다.


김준석 위원  네,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박노학  네, 김준석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분 계십니까?

  (박근영 위원 거수)

네, 박은영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준석 위원  저기 산림과장님께 질의 좀 하겠습니다. 질의라기보다……. 저번에 동보원에 대해서 계획안을 갖고 와서 설명해 주셨는데 제가 곰곰히 생각을 해봤어요. ‘초등학생 아이를 둔 아빠로서 여기를 갈까?’ 저는 안 갈 것 같아요. 왜냐하면 산림이라는 그……. 산림을 하러 가는 거잖아요, 어떻게 보면. 산림욕을. 그런데 부모들 입장에서……. 어른들은 좋겠죠, 산림 이거 치유가 되고 하는데.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는 것 같아요, 시설이 됐든 뭐가 됐든. 제천에 리솜 거기 가시면 거기가 산림 공간도 있고, 스파(spa) 공간도 있습니다, 거기가. 거기 부모들이 가는 이유가 산림 때문에 가는 게 아녜요. 다 수영하고 애들이 놀려고 가는 거지. 거기가 365일, 한겨울에도 온수 풀(pool)이, 온수가 나오다 보니까 어린이들이, 부모들이 많이 가거든요. 그래서 그때 계획안을 보여 주신 것 중에 물을 해서 거기로 반사해서 포토존 같은 거 계획이 있으시죠?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산림관리과장 김은배입니다. 저희가 활용 방안 용역을 할 당시 결과가 거기는 숲 체험이나 치유를 특화했으면 좋겠다는 그런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사실 옥화자연휴양림하고 동보원하고 거리가 차량으로 한 10분 정도면 이동이 가능한 거리이고, 옥화자연휴양림은 저희가 이번에 롤글라이더 설치 사업을 하는 것처럼 자녀들/아동들이 와서 놀고, 활기차게 즐기고 그런 사업을 그쪽에 많이 하고 있습니다. 수영장도 있고, 놀이터도 있고 이런 시설 많이 했고요. 동보원은 저희가 말 그대로 힐링이나 숲 치유를 특화로 하려고 그렇게 구상하고 있었습니다.


김준석 위원  아니, 저는 그건 다 좋은데 거기 계획을 보니까 물이 들어가는 공간이 있더라고요, 초입에. 그래서 거기 사진 포토존이 되는지 그것을 반사해서 그걸 사진 찍는 공간을 만드시는 거잖아요?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네, 맞습니다. 저희가 동보원에 볼거리가 너무 없어서 물을 이용한 수경시설을 계획했었습니다. 한 30센티 정도의 물을 이렇게 담아 놔서 물에 비치는 자연환경이라든가 그런 것을……. 거기 식당 건물 2층에 옛날에 커피숍이 있었거든요. 그 자리에 커피숍이 있든지 아니면 휴게공간이 생기게 되면 거기서 내려다보면 동보원 산자락이 쫙 내려다 보이면서 그 밑에 수경시설이 보일 수 있도록 계획을 했었습니다.


김준석 위원  제가 볼 때는 그게 크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깊이가 30센티라고 하시면 그것을 좀 더 생각하셔서……. 카페가 들어오면 부모님들이 카페에서 애들이 물속에서 노는 것도 볼 수 있고. 부모들은 그런 걸 원하거든요. 그래서 그것을 굳이 사진 촬영 명소로 만드시려고 하시는 것 같은데 한 번 더 생각해 보셔서 아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을 일부분이라도 했으면 합니다. 그래서 과장님께 건의를 드리니까 한 번……. 내부적으로 상의는 해보셔야겠지만 적극적으로 검토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공원산림본부산림관리과장 김은배  네, 산림관리과장 김은배입니다. 알겠습니다.


김준석 위원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박노학  네, 김준석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분 계십니까?

  (김은숙 위원 거수)

네, 김은숙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준석 위원  오늘은 화면 안 띄우고 그냥 질의 좀 하겠습니다. 조성과 52페이지고요. 조성과장님께 좀 질의 아닌 제가 이 사업 내용을 보고……. 제가 여기 미래지공원이랑 생태공원 한 번 가 봤었어요. 그런데 거기 작품도 많고, 이렇게 철조물 구조물도 많고 한데 여기 사진 보면 첫 번째 사진이 이렇게 흑백으로 돼서 잘 안 보이실 거예요. 그런데 이 구조물이 제가 알기로는 철근인가 철재로 돼 있어요. 그런데 지금 보면 녹슬어 갖고 완전 갈색으로 돼 있습니다, 이게 현재. 그리고 나무로 된 조형물도 있고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심지어는 여기 일반 시민이 갖다 놨는지 모르겠는데 고양이 집이 있더라고요, 고양이 밥그릇도 있고. 그래서 누가 와서 고양이에게 사료를 주시는 것 같아요. 그런 걸 혹시 사전에 현장 같은 데 보시면……. 과장님, 이런 것 혹시 못 보셨나요?


○공원산림본부공원조성과장 김재형  예, 공원조성과장 김재형입니다. 여기가 미래지……. 미래지테마공원이 청주시에서 처음으로 1회 가드닝 페스티벌 했던 장소고요. 위원님, 사진 같은 경우는 중부대학교 교수님이 한 작품이거든요. 한 작품인데 이게 오래 있다 보니까 철재 작품 같은 건 녹이 슬고, 아크릴 같은 경우도 색이 바래 가지고 보기가 좀 그래서 저희가 올해부터 리모델링을 하려고 지금 이렇게 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거고. 고양이 집 같은 경우는 저도 갔을 때부터 치우고 철거하는데 또 계속 갖다 놓거든요. 그래서 저도 현장을 몇 번 가 봤고 그래서 올해부터는 기존 했던 정원에 대해서 계속 사후 관리를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김준석 위원  그래서 이런 조형물도 있지만 나무로 된 작품도 있고 여러 가지가 있더라고요. 그런데 이런 건 어떻게 보면 야외에 있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부식이 되는데 나중에 이런 건 작품을 하실 때 그런 것도 좀 감안하셔 갖고 아무래도 비바람에 강하거나 녹이 덜 슬 수 있는 그런 재료를 좀 하셔서 관리하셨으면 좋겠어요. 이게 나중에 유지보수를 다시 하셔야 될 거란 말예요. 그러면 또 예산 투입이 될 거고요. 이게 전체적으로 보시면 지금 작품 앞에서 사진을 찍어야 포토존이 될 수가 있는데 어떻게 보면 흉물 가깝게 돼 가고 있는 상태니까 일반 시민이 여기 가지도 않고. 그러다 보니까 과장님께서 직접 현장 가 보셔서 그걸 한번 쭉 보시고 하시면 문제점이 좀 있거든요. 올해는 이걸 보수하시든……. 아무튼 시민들이 좀 더 찾을 수 있게 관리 좀 철저히 부탁드리겠습니다.


○공원산림본부공원조성과장 김재형  네, 공원조성과장 김재형입니다. 작품은 사전에 심사할 때도 그런 거 유념해서 하고 사후 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김준석 위원  예, 이상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박노학  네, 김준석 위원님 수고하셨습니다. 또 다른 위원님 질의하실 분 계십니까?

  (남일현 위원 거수)

네, 남일현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맨위로 이동

페이지위로